728x90 반응형 Datastructure/[4] 리스트 [4] 리스트 ⑥ 이중 연결리스트 : ADT 2024. 5. 6. 이중 연결리스트의 ADT이중 연결리스트의 ADT에 포함된 함수와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한다.https://udangtangtang-cording-oldcast1e.tistory.com/232 [5] 리스트 ② 이중 연결리스트 : 알고리즘이중 연결리스트의 알고리즘 이중 연결 리스트는 두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나와 연결된 다음 노드와 내 이전 노드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역행하여 노드를 확인하거나 추가/수정에 용udangtangtang-cording-oldcast1e.tistory.com해당 포스팅에서 각 함수의 로직과 방향 지정에 대해 이해하기 쉽도록 포스팅을 진행했다.이중 연결리스트의 ADT 구현 - 연결리스트 (1)※ 입출력에 대한 안내는 아래의 [더 보기] 란을 확인한다.더보기- 특별한.. [4] 리스트 ⑤ 이중 연결리스트 : ADT 2024. 5. 6. 이중 연결리스트의 ADT단일 연결리스트의 ADT에 포함된 함수와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한다. [4] 리스트 ④ 이중 연결리스트 : 알고리즘이중 연결리스트의 알고리즘 이중 연결 리스트는 두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나와 연결된 다음 노드와 내 이전 노드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역행하여 노드를 확인하거나 추가/수정에 용udangtangtang-cording-oldcast1e.tistory.comstruct 구조체 선언#include#include#includetypedef int element;데이터의 자료형을 element로 정의한다.typedef struct DListNode{ element data; struct DListNode* prev; struct DListNode* ne.. [4] 리스트 ④ 이중 연결리스트 : 알고리즘 2024. 5. 6. 이중 연결리스트의 알고리즘 이중 연결 리스트는 두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나와 연결된 다음 노드와 내 이전 노드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역행하여 노드를 확인하거나 추가/수정에 용이하다. 이중 연결리스트는 next 구조체 포인터, pre 구조체 포인터 그리고 노드가 저장하는 데이터 값을 가지는Listnode(필자가 선언한 변수명) 구조체와 리스트의 헤드와 테일 노드 그리고 리스트의 크기를 저장하는 list_info(필자가 선언한 변수명)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이때 헤드노드와 엔드노는 더미데이터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고 노드 정보만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 head(머리 더미) = 데이터 없이 첫번째 노드를 가르킨다.· tail(꼬리 더미) = 데이터 없이 꼬리 자신을.. [4] 리스트 ③ 단일 연결리스트: 다항식 2024. 5. 6. 단일 연결리스트의 알고리즘단일 연결리스트의 ADT에 포함된 함수와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한다. [5] 리스트 ① 단일 연결리스트추상자료형 추상자료형이란 데이터 구조의 추상형으로서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고 실행되는 기계적인 메커니즘과는 구분되어 인간이 데이터를 다루는 관점에서 데이터구조를 명세한 것을udangtangtang-cording-oldcast1e.tistory.com단일 연결리스트를 이용한 다항식 계산연결리스트 2주 차: 연결리스트의 응용 2 - 다항식 덧셈 (문제 2 참고 내용) 1. 다항식을 표현하는 연결리스트 구조하나의 다항식(polynomial)을 하나의 헤더 단일연결리스트로 표현하는 방식 사용다항식의 각 항은 하나의 노드로 표현하고, 각 노드에는 다음 세 개의 필드를 저장 - coef.. [4] 리스트 ② 단일 연결리스트 : ADT 2024. 5. 6. 단일 연결리스트의 ADT단일 연결리스트의 ADT에 포함된 함수와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한다. [4] 리스트 ① 단일 연결리스트추상자료형추상자료형이란 데이터 구조의 추상형으로서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고 실행되는 기계적인 메커니즘과는 구분되어 인간이 데이터를 다루는 관점에서 데이터구조를 명세한 것을udangtangtang-cording-oldcast1e.tistory.com단일 연결리스트의 ADT 구현 (1): 함수 분리아래 알고리즘에서 단일 연결리스트의 헤더노드는 값을 저장하는 유효 노드로서 작동한다. init 함수: 연결리스트 초기화① 리스트의 Head를 NULL로 선언한다. 이때 인자로 받는 같은 DListType 값이다.② 리스트의 사이즈를 초기화한다. 쉽게 말해, 연결리스트를 담고 있는 '타입의.. [4] 리스트 ① 단일 연결리스트 2024. 3. 10. 추상자료형추상자료형이란 데이터 구조의 추상형으로서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고 실행되는 기계적인 메커니즘과는 구분되어 인간이 데이터를 다루는 관점에서 데이터구조를 명세한 것을 말한다. ADT는(Abstract Data Type)의 약자로 구체적으로 세 가지를 명시한다. ① 다루는 데이터② 데이터에 관한 작업들③ 데이터를 다루는 중 발생 가능한 에러 상황들 데이터를 컴퓨터에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컴퓨터 상에서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다루는 데이터 구조에 관한 학습은 중요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구조를 기계적 관점이 아닌 인간의 관점에 가까운 추상자료형의 관점이 중요하다.리스트 ADT리스트 ADT는 연속적인 임의 개체를 모델링한다.리스트를 구성하는 개체는 해당 리스트의 원소가 되며 각 원소에 대한.. 728x90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