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theory]

[변수와 자료형] #2-1. 변수를 사용한 예제(1)

728x90
반응형

이전 포스팅의 코드 블록을 재복습한다.

해당 포스팅은 필자가 복습하기 위해 포스팅한 내용의 중복이 포함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문법] #4-1. 자바스크립트의 입출력

이전 포스팅의 복습 이전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태그 사용법과 함께 소스를 HTML 문서 안에 작성하거나 외부 스크립트 파일을 이용하여 각각의 파일을 하나의 객체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udangtangtang-cording-oldcast1e.tistory.com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style>
        body {
		font-size:1.3em;
		text-align: center;
	}
    </style>
</head>
<body>
    <h1>환영합니다.</h1>
    <script> 
        var name = prompt("이름을 입력하세요.");
        document.write("<b>" + name + "</b>님 환영합니다.");
    </script>
</body>
</html>

먼저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조심할 점은 <head> 태그와 <body> 태그를 구분하는 것이다.

 

 <head> 태그는 웹 문서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담당하므로, 문서의 폰트와 위치를 담당하는 코드는  <head> 태그에 속한다.

 <body> 태그는 웹 브라우저에서 보이는 부분을 담당하므로, 실제 브라우저에서 작동하는 입출력에 관한 스크립트와 출력 문구 코드를 해당 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변수 할당

코드 19번째 줄을 보면 name이라는 변수를 할당하는 코드를 볼 수 있다.

이때 name이라는 변수를 설정하고 prompt() 함수를 통해 입력받은 값을 name 변수에 할당한다.

추가적으로, prompt() 함수의 괄호 안에는 따옴표를 활용하여 출력 창에 표시할 문장을 작성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문장 출력

코드 20번째 줄을 보면 document.write() 함수를 이용하여 브라우저에 문장을 출력한다.

이때 <h1> 태그와 다른 점은 헤드 문구가 아닌 일반적인 문구라는 것이다. document.write() 함수 또한 코드를 확인하면 다른 태그와 함께 혼용이 가능하며 이때 태그는 따옴표 처리에 주의한다.

 

document.write() 함수안에 사용한 태그는  <b> (볼드체) 태그로 글자를 굵게 하는 태그이다. 문장을 출력하는 함수의 인자로서 사용되므로 따옴표안에 처리하며, 이때 변수는 따옴표 처리가 아닌 변수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되, 다른 태그와 연결을 위해 + 기호로 연결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